본문 바로가기

손정의(Masayoshi Son) 회장 관련 기사

손정의 “일본은 AI 후진국…쇠퇴산업 매달려 진화 뒤처져”

손정의. 오종택 기자

“일본 기업 경영자의 대부분은 계획을 만들 뿐, 비전과 전략은 선배가 만들었던 걸 재탕하고 있다.” 
  

“선배가 만든 비전과 전략 재탕”
10조엔 AI투자 펀드 만들기로

재일교포 3세인 손정의(孫正義·일본명 손 마사요시·사진)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이 일본 기업 경영자들의 안일한 자세를 혹독히 비판했다. 28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실린 인터뷰에서다. 
  
그는 “일본 기업 경영자들은 (비전과 전략에 대해) 그다지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며 “전쟁 후 고생하면서 기업을 일궈낸 창업자들은 커다란 꿈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는 집념이 있었지만, 지금의 ‘샐러리맨 경영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많은 대기업에는 일확천금을 노리는 굳은 의지의 경영자가 없고, (경영자가) ‘샐러리맨화’하고 있다”며 “채소가게가 사업에 대한 집념을 갖고 하루하루 가게를 꾸려가는 건, 자신의 가업에서 열심히 일한 만큼 보상이 있고 그렇지 않으면 도산한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많은 일본 대기업이 정체돼 있는 이유에 대해선 “일본의 산업·경제계의 최대 문제는 성장분야의 세계시장에서 포지션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쇠퇴산업에만 매달리고 있기 때문에 진화에서 뒤처진다”고 지적했다. 손 회장은 디지털 시대 경영자가 갖춰야할 요건에 대해 “자신의 비전과 전략을 명확히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인공지능(AI)이 10년 후 세상을 가장 많이 바꿀 수 있는 3개 분야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의료, 교통을 꼽았다. 
  
최근 일본을 AI 후진국으로 평가했던 것에 대해선 “위험하다고 인식해야 한다”며 “일본이 세계에서 점점 경쟁력을 잃어가는 것은 진화에 대해 욕심을 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의사 결정이 늦기 때문에 진화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후계자에 대해선 “자사(소프트뱅크)에서 올라오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펀드 투자처의 기업가 중에도 우수한 인재가 많다”고 답했다. 
  
한편 손 회장은 지난 26일 AI 투자에 집중하는 10조엔 규모의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의 제2탄을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4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선 “앞으로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AI, 둘째도 AI, 셋째도 AI”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정현목 기자 gojhm@joongang.co.kr



출처 : https://news.joins.com/article/23538026

 

손정의 “일본은 AI 후진국…쇠퇴산업 매달려 진화 뒤처져”

"일본 기업 경영자의 대부분은 계획을 만들 뿐, 비전과 전략은 선배가 만들었던 걸 재탕하고 있다". 그는 "일본 기업 경영자들은 (비전과 전략에 대해) 그다지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며 "전쟁 후 고생하면서 기업을 일궈낸 창업자들은 커다란 꿈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는 집념이 있었지만, 지금의 ‘샐러리맨

news.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