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면서 발전한다? 딥러닝 기반 기술!> / YTN 사이언스
2016년 세기의 대결이라며 각국의 주목을 받았던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경기, 다들 기억하시죠? 바둑은 수많은 경우의 수를 품고 있는 만큼, 인간을 이길 수 없을 것이라던 전문가들의 의견과는 달리 인공지능 알파고는 손쉽게 인간과의 대결에서 승리했어요. 현재도 계속해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알파고! 이를 운영하는 핵심 기술은 바로 딥러닝입니다!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기계가 직접 데이터를 학습해 그 속에 숨겨진 일련의 규칙을 찾는 것을 말하는데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간 기술이 딥러닝(Deep Learning)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계학습 기술로, 데이터 전체를 기계에 학습시킨다는 점에서 머신러닝과 구별된다고 해요.
가령, 컴퓨터에 개와 고양이 사진을 학습시켜 각각의 사진을 분류하도록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머신러닝의 경우 개와 고양이의 서로 다른 특징들을 선별하여 컴퓨터에게 전달하지만, 딥러닝은 개와 고양이의 사진 자체를 전달합니다. 다시 말해, 딥러닝은 컴퓨터가 스스로 개와 고양이 사진을 찾아서 두 사진 사이의 서로 다른 특징들을 학습한 다음에 구분하는 것이죠.
딥러닝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기 적합한 기술인데요. 그런데 이때, 대규모 모델이나 데이터를 학습하려면 다수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컴퓨터 간 많은 메시지를 주고받아야 합니다. 이럴 경우, 통신량이 너무 많아져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SW콘텐츠연구소는 ‘딥러닝 HPC 기술’을 개발했다고 해요!
이는 다량의 메시지를 주고받는 컴퓨터 중간에 ‘공유메모리’를 두어 병목현상을 해결하고,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한 것인데요. 학생들이 여러 장에 걸친 시험 범위를 서로 나누어 공부한 후, 그 내용을 공유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죠. 이렇게 공유메모리를 이용해 학습하면, 기존보다 약 2배가량 속도를 단축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연구소는 일반 사용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딥러닝 대시 보드’ 또한 개발하여 대규모 이미지 인식이나 음성 인식 분야에서 초보자들도 쉽게 그래픽 도구를 이용해 모델 개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딥러닝 기술을 지원하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아끼지 않는 연구소의 모습이 돋보이는 부분입니다!
우리의 일상을 둘러싼 딥 러닝 기반 디지털 기술! 이미 수많은 기업에서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만큼, 더 이상 우리에게는 낯선 기술이 아니죠. 기술활용으로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하니, 앞으로 인공지능과 관련한 더 많은 기술의 탄생을 기대해 보아도 좋겠습니다.
출처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654553&memberNo=12127589&vType=VERTICAL
나누면서 발전한다? 딥러닝 기반 기술!
[BY 과학덕후 YTNscience] <나누면서 발전한다? 딥러닝 기반 기술!> / YTN 사이언스 2016년 세기의 대결...
m.post.naver.com
'AI 관련 학습 자료 > 머신러닝과 딥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 딥러닝, 알고리즘(천재학습백과 초등 소프트웨어 용어사전) (0) | 2019.08.01 |
---|---|
‘머신러닝-딥러닝’, 뭐가 다를까 (0) | 2019.08.01 |
딥러닝, 머신러닝의 차이점은? 딥러닝과 머신러닝은 이런 점이 다르다. (0) | 2019.07.31 |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 (0) | 2019.07.31 |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차이는? (0) | 2019.07.31 |